반응형

1. apologize to somelody for

-They apologized to me for what happened.

기억해야한다. Apologize me 가 아니라 Apologize TO me 라는 것

2. explain something to somebody

-Can you explain that to me ?

같은 맥락이다. Can you explain me? 라고 하면 문법적으로 틀린것.

*describe to you 도 비슷하게 to를 쓴다.

*answer 다음에는 to 가 안붙는다.

3. ask + somebody

ask는 자주 헷갈리던 단어인데 ask to 라고 하지 말고 바로 사람이 온다.

4. have a look/take a look + AT

have a look 다음 목적어가 나올 떄는 at을 써주어야 한다.

5. shout at 과 shout to 의 차이점

shout 은 소리치다는 뜻인데 전치사에 따라서 뜻이 달라질 수 있어서 주의해야한다. 만약 shout AT 을 사용하면 "화나서 소리치는 것" 이고, shout TO 를 사용하면 주변이 시끄러울때 등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다.

-He got angry and started shouting at me.

-He shouted to me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reet.

6. throw at 과 throw to 의 차이점

throw at 은 뭔가를 던져서 때릴때, to 를 사용하면 누군가에게 패스하는 느낌으로 던질 때. 이것도 주의 해서 사용해야한다.

-Somebody threw an egg at the politician.

-Lisa shouted "Catch!" and threw the keys to me from the window.

7. discuss something. (* have a discussion about)

discuss를 동사형으로 써서 말을 하느냐 명사형으로 써서 말을 하느냐에 따라 전치사 사용 여부가 결정되는 경우이다.

8. care for

care for 은 두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많은 이들이 아는 것 처럼 "make sure somebody is safe and well" 이다.

-He needs somebody to care for him.

하지만 더 흔하게 쓰이는 뜻으로

기호, 의사를 물을 때 사용할 수 있다.

"Would you care for a cup of coffee?" = Would you like -

"I don't care for very hot weather." = I don't like -

예문을 보면서 파악하는 것이 빠르다.

9. search + place + for

I've searched the house for my keys.

10. leave(떠나다) +place(생략가능) + for (향하는곳)

she left home for the office this morning.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비교급에 사용하는 표현들과 so, such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한다.

so and such


나는 such를 활용하는 방법이 항상 헷갈리곤 했다. 근데 such는 so 랑 같다고 보면 된다. 다만 so 는 형용사 앞에 오고 such는 명사 앞에 온다는 것.
It's such a stupid story 이렇게... 그리고 알다시피 such 를 like this 의 뜻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so 도 마찬가지.
I don't usually get up so early. 여기서 so 는 매우 일찍이 아니라 "그렇게"일찍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뜻. There's no such a thing. 이건 a thing "같은것"은 없단 뜻.. 

비교급


비교급에서 2음절이상 되는 형용사에는 more 을 써주는 것은 당연히 아는 상식.... 근데 부사도 비교급으로 쓸 수 있다. 
more slowly, more seriously, more carefully....
왜이렇게 정확하게 몰랐던 문법들이 끊임없이 나오는 걸까;;;
** far 은 er 을 붙이지 않고 farther 을 사용한다. 
***Further 은 more 과 additional 의 뜻이 있다.

비교급 강조


비교급 강조를 위해 비교급 앞에 올 수 있는 단어는
much, a lot, far, a bit, a little, slightly
예를들어) It's far more serious than I thought!

ant longer, any bigger


이건 각각  not even a little longer, not even a little bigger 이라는 의미
응용하는 방법은 예문을 통해서 익히는 수 밖에 없다. 사용법이 너무 낯설어서,,,,,,,,,ㅠㅠ

-I'm not waiting any longer.
-It's no more expensive.
-Do you feel any better?
-Yours aren't any bigger than ours.

The sooner the better


빠를 수록 좋다 (=as soon as possible)
응용해서 the bigger the better 등으로 만들어낼 수 있음.
마치 관용어구인 마냥 이렇게 많이 쓰이는 것 같다. 질문에 대한 답 등..

+) older and elder


older은 그냥 모두가 아는 그대로, 근데 elder은 
elder sister, elder brother, elder son 등에만 (family) 쓰인다.

반응형
반응형

1. Like and as

Use as before 'subject + verb'

Like can be preposition, so it is followed by a noun. (but also possible 's+v' in informal spoken English.

as usual, as always 는 as 를 이용한 흔하게 쓰이는 표현

as you know, as I expected, as I thought 는 already 의 의미가 있는 표현

(Like 는 위의 as 를 대체할 수 없다. like I said 제외)

*** do 다음에 쓰이는 as

-You can do as you like (=do what you like)

as도 전치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그러면 뜻이 달라진다. -로서 의 뜻이 되는 것임....+in the position of, in the form of etc..

2. looks like, sounds lik, feels like ....

이 표현들을 looks as if...looks as though 로 대체할 수 있다.

(as if 다음에 오는 동사는 가정법에서 하는 것 처럼 과거형으로 써줘야함)

 

 

그리고 공부할 떄 알아두면 좋을 것들.

형용사를 나열할 때도 순서가 있다..?
어디서 들은 적도 없는 상식(?)..주관적인 형용사가 팩트를 설명하는 형용사보다 앞에 와야한다. 예를들어  a nice long summer vacation, an interesting young man, a delicious hot soup 이렇게 형용사가 두 개 이상 나열될 때 이런 순서로 배치하는 것이 문법에 맞다고 함. 
팩트 형용사도 순서가 있다는데 크기, 오래됨, 색, 위치, 만들어진 것 등등 의 순서로 와야한다고 하는데 이건 그냥 생략함.. a plastic small bag 은 어색하고  a small plastic bag 가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걸 보면 나도 모르게 자연스럽게 알고 있었던 것 같기도 하고...불필요하게 느껴진다.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와 동사를 꾸밀 수 있는 부사
이건 누구나 아는 거겠지만 예문 하나만 적어두고 싶어서 기록
같은 뜻의 문장을 
형용사를 써서: She speaks perfect English 
부사를 써서: She speaks English perfectly

부사인 +Well + 과거형 동사 = 형용사가 된다
well dressed, well known, well educated, well paid
예) He's father is a well known writer.
그런데 그냥 형용사로 well 을 단독으로 쓰는 경우도 있는데 그건
"in good health" 라는 의미로만 쓰일때.
How are you today? -I'm very well

Hardly 의 사용법
hard 와는 별개의 "very little" 의 의미. 문장에서 쓰이는 방법은 알았는데 주로 any, anybody, anyone, anything, anytime 과 자주 쓰일 수 있다고 한다. 
How much money have we got? - Hardly any.(=almost none.)
There's hardly any difference between them.
Hardly anybody in our class passed the test.
She said hardly anything.

***Hardly ever : almost never

반응형
반응형

1. as long as, or so long as

=if , on condition that

오래전에 As long as you love me 라는 노래로 이걸 배운 기억이 있다.

근데 provided 는 거의 처음인 듯 하다.ㅠ

예문) Travelling by car is convenient providing (that) you have somewhere to park.

Provided the room is clean, I don't care which hotel we stay at.

provided, providing 은 둘 중에 뭘 사용해도 의미에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주의할 점은 when 절 처럼 미래에 대한 이야기여도 will 을 쓸 필요가 없다는 것.(providing the weather is good, we're going on a picnic.

2. as (at the same time)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

I watched her as she opened the letter.

Can you turn off the light as you go out, please?

We met him as we were leaving the hotel.

just as = exactly at that moment!!

Just as I sat down, the phone rang.

** as 와 when 의 사용법이 헷갈릴 수 있다. as는 동시에, when 은 일의 순서가 있다는 것을 기억..!!

3. as (because)

이 경우에도 when 과의 사용법이 헷갈릴 수 있다.

As they lived near us, we used to see them pretty often.

When they lived near us, we used to see them pretty often.

전자는 그들이 우리 근처에 살아서, 후자는 그들이 우리 근처에 살 때

뜻은 솔직히 조금 비슷한거 같긴해서 헷갈리는데 화자의 의도는 명백하게 달라서....... 주의할것!

 

 

전치사는 영어 공부를 할 때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에 하나다. 유튜브에만 검색해봐도 이 세가지 전치사를 설명해주는 영상이 많음.. 근데 그래머인유즈 121과에서는 관습적으로(?) 영어권 사람들이 쓰는 표현들을 정리해뒀다. 규칙을 찾아보려했지만 딱히 없는 것 같고 책에서도 왜 이 표현에 이 전치사를 사용하는지 설명 없고 그냥 예시만 쭉쭉 나열되어있다. 매일 10번씩 두 달동안 하면 익숙해지지 않을까 ㅠㅠ? 근데 난 그만큼 부지런하지 않다 ㅠㅠ 일단 정리

4. IN

in a line, in a row, in bed, in the world, in the country, in the countryside, in an office, in a department, in a photograph, in a picture, in a book, in a newspaper, in a magazine, in a letter

5. ON

on the left, on the right, on the ground, on the first floor, on a map, on a menu, on a list, on a farm, on a ranch

on a street, on a river, on a road, on the coast

6. AT

at the top of-,at the bottom of-, at the end of-

7. 기타******

in the front, in the back

어떤 공간에서의 위치, 사람들의 위치 등등에 쓰인다.

예시- I was sitting in the bacj of the car when we crashed.

Let's sit in the front of the theater.

on the front, on the back

사진,편지,종이 안에서의 위치에 쓰인다.(그냥 사진 편지 종이에는 on 이 아니라 in 이 쓰임;;)

예시- I wrote the date on the back of the photo.

at the top, at the bottom, at the end

위에서 종이의 앞뒷면에는 on을 썼다면 한 페이지 안에서의 위치는 at을 쓴다;

예시- Write your name at the top of the page.

교통수단

On a bus, On a train, On a plane, On a ship, On a bike, On a motorcycle, On a horse

In a car, In a taxi

반응형
반응형

1. Until and by

매일 헷갈리는 문법.. 차이는 "연속성"이다.

until monday 는 월요일까지 뭔가가 계속 지속되는 것이다.

I'll be working until 11:30 이라고 하면 나는 11:29분까지 일하고 30분부터는 그만하겠다는 것. 가게 팻말의 closed uuntil Monday 는 월요일에 연다는 뜻

by monday 는 월요일 전까지 언제든지 될 수 있음. 예를들어 11월 20일 까지 숙제를 제출해라. 라고 하면 그 전에 언제든지 제출해서 완료될 수 있는 것.

 

아래는 라이브 아카데미 선생님이 아주 이해 쉽게 영상으로 알려주는 강의. 예문도 많이 들어주시니 참고하기 좋다.

https://www.youtube.com/watch?v=AyCD7K_3yVM

 

* by then, by the time

서로 대체가능

2. On time , In time

-on time: 늦지않은 딱 맞는 시간. 제시간에

(반대되는 말은 late) Be on time! Don't be late!

-In time: 곧 (ex)I hope it arrives in time.

(반대되는 말은 too late)

* Just in time : We got to the station just in time for our train. 기차시간에 딱.맞.춰.서 기차역에 도착했다.

아래는 구글에서 얻은 정보. 구글은 정말 좋은 영어 선생님이 될 수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on time” and “in time” is a subtle one, and the two expressions may sometimes be used interchangeably. Nevertheless, they express two slightly different ideas:"

https://jakubmarian.com/on-time-vs-in-time-the-difference/

 

3. at the end, in the end

비슷한 전치사가 이렇게 사용되니 정말 헷갈린다. 

at the end of the month, at the end of the game etc

at the beginning of the- 는 반대되는 말

in the end= finally

we did it in the end.

 

**at first 는 반대되는 말

반응형
반응형

ripped

=well defined musclse. (urban dictionary)

사전에 찾아보면 취한, 마약에 취한, 찢어진 청바지 (ripped jeans) 로만 나오지만 구글에 검색하고 이미지 들어가면 복근사진이 그득함.. 슬랭이라고 한다!

decide on

-으로 결정하다,정하다

물론 전치사 뒤에는 명사의 형태로 뭔가가 와야한다.

decide to 다음에는 동사가 온다.

so to speak

약간 주의를 끌고싶거나 뭔가를 설명할때 부사처럼 문장에 써줄 수 있는 표현이다.정확하게 표현하기보다는 비유같은 표현을 쓸 때 사용하는데 'like' 랑 비슷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말하자면 -같은' 의 뜻..? 굳이 번역한다면..

cliffhanger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상황

cliff-hanging 등으로 응용가능

get by

pass 의 뜻과 '그럭저럭' 의 뜻이 합쳐진 단어같아 보인다.

-으로 그럭저럭 살아나가다, 지나가다, 그럭저럭 헤어나가다, 속이다, 검열따위를) 통과하다, 들키지않고 용케 해내다 <네이버사전>

ex) I'm getting by okay. I'm getting by. (=I'm living okay, I'm living..)

more or less

(=appproximately, nearly..)

거의

(every) now and then

=sometimes but not very often

occasionally, from time to time 이라는 표현도 비슷한 표현들이다.

 

 To die for

(과장된 표현) 이걸 위해 죽을 수도 있는(?)

직역하면 이렇게 된다. 예문: This is a cake to die for. 주로 물건,음식 등에 붙는 표현이다. 한국어에서는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를” 같은 표현이 있는 것 처럼 과장하고싶을 때 사용....

 

Graduated from

-을 졸업했다

이건 흔하게 실수할 수 있는 표현이라서 적어둠! 그리고 막상 말 할 때 마다 헷갈리는 것 같다...

“From”을 빼먹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고 한다. 하지만 from을 빼고 I graduated university. 라고 하면 “내가 대학을 졸업시켰어” 라는 의미가 되어버린다고 한다....; 

 

Split the check,split the bill

비용을 나눠서 내다 (더치페이 등)

내가 계산할게 라는 말은 “i’ll pay for mine” 이라고 해도 된다. 

 

On the job training

표현 그대로 실전에서 트레이닝 받는 것

Learn on the job 이라고도 쓸 수 있음. 실전에 바로 투입해서 일을 하면서 훈련하는것. 

 As I go

-하면서,진행하면서(즉흥, 흘러가는 대로)

되는대로 하면서(정해진 것이 따로 없이) 

뉘앙스를 기억하고 사용할 것..위의 표현이랑 엮어서 문장을 만들면 ‘I used to learn on the job as I went’ 이렇게 응용

반응형
반응형

이번 과를 공부하면서 느낀 것은.. 이 부분은 원어민이 헷갈려해도 납득이 가는 부분들이다. 어떤 부분은 물어봐도 본인들도 잘 모르는 것 같고 설명도 제대로 못해주는듯

인간이 언어를 배우면서 사고하게 되는 것과 같이, 이 모든걸 자연스럽게 습득가능했던 어린시절에 영어를 배웠어야 하는 걸까...ㅠㅠ(아무말)

 

소제목: Names with and without "The"

 

1. 사람이름(닥터 존슨 등 호칭 포함인 경우도), 대륙, 섬)name+Island, 나라(그리고 주), 도시, 도로, 공원, 공항, 역이름, 대학, 산(봉우리-mount+name), 호수(lake+name)  앞에는 The 가 붙지 않는다. 하지만 The Czech Republic, The United Kingdom, The USA 등 에는 붙는다. 

-이름과 합쳐지는 경우를 말하는 것임
예시) we live near the lake. we live near Lake Superior.

근데 같이 알아둬야 할 것은 가족, 여러개로 된 나라, 그룹으로 된 섬, 산맥 은 the 를 써줘야 한다는 점이다.

The Mitchells (Mitchell 가, 가족), The Netherlands, The Philippines, The Hawaiian Islands, The Rocky Mountains (The Rockies)

 

2. 대양, 만, 강, 바다, 운하, 사막 등에는 The 가 붙는다. (기준무엇?)

The Atlantic (Ocean) , The Caribbean (Sea) , The Sahara (Desert)  등

3. 방향을 표시할때 차이

The south, The northeast of Canada etc. 
Southern, Northern Mexico
but North America, South Africa (부분 전치사가 없거나 나라 이름인 경우 The 를 쓰지 않음)

4. 고유명사인 이름이 합쳐지는 경우라도, 호텔, 레스토랑, 극장, 박물관, 갤러리, 유명한 건축물 앞에는 The 가 붙는다. (기준 무엇?????)

The Holiday Inn hotel, The Guggenheim Museum, The Empire StateBuilding, The White House, The Brooklyn Bridge 등.

5. 전치사 of 는 The 를 보통 가지고 간다.

The University of Michigan, The Bank of America 등등
또, 이름뒤에 -s, -'s 가 붙으면 The 를 쓰지 않는다. (호텔, 레스토랑 등 원래는 붙어야 하는 건물이어도....)
McDonald's, St.John's Church

6. 단체명이나 신문사의 이름앞에도 The 가 붙는다.

The Washington Post, The BBC, The European Union

7. 회사이름, 항공사 등에 The 를 쓰지 않는다

Coca-Cola, Sony, Delta 등

 

정말 THE를 붙이고 안 붙이고의 기준이 너무나 중구난방이다. 언어는 역시 예외가 많다. 영어는 그래도 프랑스어보다는 예외가 적어서..다행(?) 으로 여겨야 하나.. 나이먹고 언어배우는 게 왜이리 힘든지!

반응형
반응형

그래머인유즈를 통해서 정관사 TH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공부했다.

영어문법만 파는 것은 회화에 도움이 되지 않지만 문법공부가 뒷받침이 될 때 영어 회화가 훨씬 자유롭고 유창해지므로, 자연스러운 영어를 위해서 함께 공부하는 것이 좋다.

회화를 하면서도 이때까지 그냥 감으로 the 를 썼는데 그렇다면 이때까지 만들어낸 정관사 실수가 얼마나 무수하게 있을지...

정관사 사용법을 알아보자

 

1. the 를 필수로 붙여서 표현하는 명사들

The sky, The sea, The ocean, The ground, The country, The environment

그러나 '우주'는 하늘 바다 땅 등과 다르게 The 를 쓰지 않는다.

 

2. The same

the same, the same color 등과 같이 same 앞에는 the 가 붙음.(명사로 쓰일때.) 

 

3.영화관과 라디오

기준을 모르겠으나 영화관과 라디오앞에는 the 가 붙는다 

The movies, The theater, The radio

(텔레비젼이나 tv 에는 the 가 붙지 않는다, 단 the 가 붙는 경우는 티비 설정을 의미하는 경우-can you turn off the television?)

 

4.식사

breakfast, lunch, dinner 에는 the 가 붙지 않는다.

근데 이 단어 앞에 형용사가 올 경우는 a 를붙여준다.

(a very nice dinner)

 

5.명사+숫자 조합에는 the를 쓰지 않는다.

gate 5, room 101, size 9 등

 

6.general 한 상황은 the 를 쓰지 않는다.

학생인 사람이 학교에 갔다는 얘기를 할 때, 그 친구가 학교에 간다는 것을 the school 이라고 하지 않는다. 근데 특정 학교인 것을 강조하고싶거나, 학생이 아닌 학부모가 학교에 간다고 말할때는 특수한 경우이므로 the 를 붙인다고 한다. church, prison, college 등도 마찬가지. 

- (특정)병원에 가야한다, (특정)은행에 가야한다 - 이 경우 특정할 때가 많으므로 the 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그냥 아무 은행이어도 되면 a 를 쓰는듯.

 

7. The + 단수명사

악기, 동물, 기계 등은 the 를 써서 말한다. 물론 일반화일 경우에.

기린은 목이 긴 동물이다, 전화를 발명한 사람은 누구다, 나는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다 등은 the giraffe, the bell, the piano 라고 하는데, 여기서 the 가 특정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8. The + adjective

사람들을 그룹을 지어 나타낼 때 복수형으로 쓰지않고 the 를 붙인다.

The poor, the rich, the sick, the blind, the dead, the homeless, the old, the unemployed 등등....... 이것은 집단을 나타내는 말이고 한 사람을 말하고싶으면 a sick person 으로 말해야한다.

 

9. 나라 사람들(이상한 규칙)

-ch, -sh, -ese 로 끝나는 나라 사람들은 The 를 붙여서 복수를 쓴다.

-ese 는 복수는 똑같지만 단수는 다름

예시:

The French (프랑스사람들), A Frenchman(프랑스사람)

The Chinese (중국사람들), A Chinese (중국인) -swiss 도 그렇다.

 

나머지 나라들은 복수에 the 를 붙이지 않는다.....; 그냥 일반적인 규칙을 적용한다. Italians, an Italian, Koreans, an Korean

 

반응형

+ Recent posts